요즘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인터넷 상품은 보편적으로 500Mbps 상품, 크게는 1~5Gbps 상품까지 설치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인터넷을 설치만 받고 한 번도 속도 측정을 해보지 않았거나, 기사님이 보여준 수치만 믿고 그냥 넘어가기도 하지요.
그러나 2~3년 전, 한 유튜버에 의해 기가 인터넷 품질에 대한 큰 논란이 생겼고 급격하게 속도 측정에 대한 관심과 행동이 증가했습니다. 근데 이렇게 측정한 속도를 과연 믿을 수 있을까요? 정확할지 부정확할지 어떻게 알까요?
#1 대표적인 속도 측정 플랫폼
대표적인 속도 측정 플랫폼으로는 FAST, Speedtest, 벤치비가 많이 쓰입니다.
인터넷 속도의 개념이 무엇인가 하면요.. 우리집 인터넷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PC, 모바일 등)와 외부 서버(속도 측정 플랫폼) 간 통신하는 속도의 결과 값을 인터넷 속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측정하려는 외부 서버가 클라이언트 이용 지점과 거리가 멀거나, 트래픽이 몰리는 현상이 생긴다면 측정 결과가 부정확할 수밖에 없습니다.
위 표는 2020년 기준 국내와 국외를 잇는 인터넷 인프라 구성을 보여줍니다.
KT는 국내와 국외를 잇는 해저 케이블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허나 LG U+는 KT에 비해서 케이블이 부족할뿐더러 SK는 아예 자체 지분을 가진 해저 케이블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는 플랫폼을 이용하면 인터넷 제공사에 따라 제각각 다른 결과값을 내게 되는 거지요.
#2 FAST, 가급적이면 쓰지 마세요 🙅
많은 블로그, 유튜브에서 속도를 측정하는데 FAST를 사용하고 추천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근데 유튜버들이 사용하고 추천하면 다 좋은 걸까요?
FAST는 넷플릭스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고 접속하면 바로 속도가 측정되기에 직관적이고 편리합니다. 그러나 넷플릭스는 국내에 직접적인 서버가 없어 FAST에서 속도 측정 시 기본적으로 해외망을 사용합니다.
Q. LG U+는 넷플릭스와 계약한 캐시서버가 국내에 있다던데요?
A. 캐시서버는 넷플릭스 콘텐츠를 끊김 없이 시청하기 위해 설치된 미디어 서버입니다.
따라서 LG U+나 해외망 품질이 좋은 KT를 이용할 때는 넷플릭스를 시청하는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제일 큰 문제는 SK였는데요.
SK의 인터넷 품질은 오래전부터 가장 논란이 많고, 불안하고, 모든 게 엉망인 인터넷 사업자로 불리었습니다.
최근 들어서 국내망은 품질이 개선된 듯 보이지만 여전히 썩 좋지만은 않고요. 지역 편차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SK는 넷플릭스와 오랜 기간 이어졌던 망 사용료 분쟁으로 셋톱박스에는 넷플릭스 앱을 찾을 수 없었고, 시청이 가능하다 한들 장애가 심했습니다.
하지만 2023년에 SK가 넷플릭스와 원만한 협상을 진행하면서 넷플릭스 4K 콘텐츠까지 시청에 무리가 없게 되었고 12월에는 국내에 캐시서버도 설치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Netflix에서 제공하는 한국 인터넷 사업자 속도 테이블이에요.
위 결과치로 최근에는 SKB가 KT를 치고 나간 걸 볼 수 있습니다. 발전이라고 해야 할까요? ㅎㅎ
#3 제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이 있나요?
속도 측정을 정확하게 하려면 다음 조건을 모두 가진 플랫폼에서 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 안정적으로 지속 운영 된 곳
- 국내에 서버를 두고 있는 곳
FAST를 뺀 나머지인 Speedtest와 벤치비가 있습니다.
Speedtest는 미국기업, 벤치비는 한국기업이고 둘 다 서울에 서버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은 PC에 UTP 케이블(랜선)을 연결하는 유선 방식과 Wi-Fi로 연결하는 무선 방식이 있습니다.
누구나 알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무선 연결은 유선 연결과 속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유선은 인터넷이 PC까지 들어가는데 방해물이 없는 선으로 이어져 있지만 무선 집 구조, 여러 가지 장애물, 안테나 상태에 따라서 편차가 심하거든요.
그래서 통신사에서도 속도를 측정할 때는 유선을 연결해서 측정해 달라고 합니다.
그러나 집에 PC가 없거나, 유선 연결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쩔 수 없이 무선으로 속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무선으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최대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5GHz 대역 와이파이 이용
- 측정 단말기와 공유기를 아주 가까이 바짝 붙여 측정
- 공유기 WAN 최대속도가 인터넷 상품 가입 속도보다 높은지 확인
1) WAN 최대속도: 1Gbps > 가입 속도: 500Mbps (O)
2) WAN 최대속도: 100Mbps < 가입 속도: 500Mbps (X)
조건 3번의 경우, 통신사에서 제공한 공유기를 사용 중이라면 대부분 만족할 겁니다. 간혹 통신사에서 가입 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공유기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4 글쓴이는 속도가 얼마나 나올까요?
글쓴이도 속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며칠 전 LG U+에서 SK브로드밴드로 인터넷을 변경했거든요 :)
플랫폼 | 다운로드 (Mbps) | 업로드 (Mbps) | 지연시간 (ms) |
Speedtest (Ookla 서울) | 472.3 | 248.93 | 7 |
Speedtest (kdatacenter 서울) | 203.73 | 188.43 | 7 |
벤치비 | 464 | 148 | 7.02 |
FAST | 520 | 170 | 16 |
통신사 제공 | 498.1 | 325.9 | 5.7 |
측정 결과는 의문이 드는 수치입니다.. ㅋㅋ
기가 라이트에 가입했기 때문에 다운로드는 500Mbps에 근접하게 쭉쭉 잘 나오는 편이지만 업로드는 통신사 제공 플랫폼에 비해 나머지 플랫폼들은 많이 안 나오는 것 같네요.
아무렴 SK의 국내망이 안정되었다 해도 업로드를 보면 또 그렇게 안정된 것만 같지도 않아 보이고요. LG U+를 사용하다 넘어온지라 업다운 500 나오던 결과와는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실제로도 느껴지고요.
#5 마치며
인터넷 속도는 모든 사람이 같은 곳에서 같은 서버로 측정하는 게 아니므로 결과는 상대적일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PC와 유선으로 연결하고, 국내에 서버를 둔 측정 플랫폼을 사용해 주세요.
공유기, 유선 연결, 기가급 인터넷 등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도 100Mbps와 같이 느린 속도가 측정된다면 각 인터넷 사업자에 연락해 우리 집 내 인터넷에 문제가 있는 확인 해보셔야 합니다. 주택일수록 이런 현상이 많이 일어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to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도 가능한 결합할인? 유플러스 인터넷 결합 (1) | 2024.02.27 |
---|---|
현대카드 체크카드 해지는 어떻게? (1) | 2023.03.03 |
현대카드 VIP 프로그램? 굿프렌드쉽 알아보기 (0) | 2023.01.14 |
'내가 죽고난 후' 유산 관리자 알아보기 (2) | 2022.10.08 |